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회 정치 경제37

대구 서문시장, 왜? 보수의 중심이 된 걸까? 선거철이 다가오면, 보수 진영에서는 어김없이 달려가는 바로 그곳 "대구 서문시장"입니다. 흔히들 "서문시장은 보수의 심장이다!"라고 말합니다. "대구의 서문시장"이 어떻게 보수의 중심이 되었을까요? 오늘은 그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그럼, 다 함께 렛츠고~~~~ ^^   1. 서문시장의 시작, 400년을 거슬러 올라가다서문시장은 조선 시대인 1600년대부터 대구읍성 서문 밖에서 ‘대구장’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됐습니다. 1601년 "경상감영"이 대구로 오면서 장터가 커졌고, 1669년 경상도가 통합되며 물류 중심지로 급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참고: 경상감영(慶尙監營)은 조선 시대에 경상도 지역의 행정을 총괄하던 관청을 의미합니다.) 그러다 1922년 9월 28일 공설시장 허가를 받아, 1923년 4월 1.. 2025. 4. 11.
대선 도전, 지지율 0%인데 왜 나가? (지지율 낮아도 대통령 출마 이유) 이번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가 많다는 것 아시나요? 뉴스를 틀 때마다 익숙한 이름들이 "출마 선언 했다"는 기사가 넘쳐 납니다. 그런데, 솔직히 궁금하지 않으시나요? 지지율 1%대인 후보들이 왜 굳이 힘들게 출마하는 걸까요? 오늘은 이 흥미로운 주제를 일반적인 이유, 정치적 이유, 심리학적 이유로 나눠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렛츠고!!!   1. 일반적인 이유: “나도 주목받고 싶어요!”지지율 낮은 후보들이 출마하는 가장 흔한 이유들은, (1) 개인적 명성 쌓기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무대입니다. 출마하자마자 TV, 유튜브, 신문에 이름 한 번 실리면 평생 잊히지 않죠. 영원히 "박제"되는 겁니다. 지지율이 낮아도 “내가 대통령 후보였다”라고 하면, 주변에서 “오!” 하며 높여 보.. 2025. 4. 10.
트럼프의 125% 중국 관세 폭탄! 다른 나라 90일 유예 이유 2025년 4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이 또 중국에 관세 폭탄을 던졌습니다. 이번엔 무려 125%! 근데 더 놀라운 건, 갑자기, 다른 나라들에는 90일 동안 관세를 유예하고 10%로 낮췄다는 겁니다. "뭐야, 왜 중국만 이렇게 때리는 거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25% 중국 관세, 무슨 일이야?2025년 4월 9일, 트럼프가 자신의 소셜 미디어 'Truth Social'에서 대폭발 선언을 했습니다. "중국산 제품에 관세 125% 때린다!"고요. 이건 하루 전인 4월 8일에 중국이 미국의 보복성 관세에 맞대응하며, 미국 상품에 똑같이 34% 추가 보복 관세를 걸며, "너도 아프게 할게!"라고 반격한 데 대한 응수입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중국 관세가 104%(이.. 2025. 4. 10.
위고비 다이어트약의 비밀: 효과, 부작용, 그리고 논란 다이어트약으로 유명한 위고비(Wegovy), 오늘 뉴스에서 탈모 부작용 이야기가 나오면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위고비의 개발 배경부터, 유명인 사용 사례, 효과와 부작용, 구매 조건, 장단점, 그리고 찬반 의견까지! 아주 쉽고 재미있게 풀어 보겠습니다. 그럼, 렛츠고!   1. 위고비는 누가, 언제, 왜 만들었을까?위고비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비만 치료제입니다. 주성분은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라는 GLP-1 유사체로, 원래는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2017년 "오젬픽(Ozempic)"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됐습니다. 그런데 임상 시험에서 환자들이 체중이 쭉쭉 빠지는 걸 보고, “이거 비만 치료제로 딱이네!” 하며, 2021년 6.. 2025. 4. 9.
대한민국 개헌 논란: 4년 중임제 완전 총정리 (아주 쉬운 설명) 요즘 우리나라에선 "개헌"이라는 단어가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통령 4년 중임제"가 가장 핫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죠. 대체 이게 뭐길래 이렇게 시끄러운 걸까요? 오늘은 이 제도를 아주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디테일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1. 대통령 4년 중임제란?먼저, "대통령 4년 중임제"가 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우리나라 대통령은 "5년 단임제"입니다. 즉, 한 번 뽑히면 5년 하고 끝! 다시는 출마 못 하죠. 근데 4년 중임제는 임기를 4년으로 줄이고, 그 대신에, 잘하면 한 번 더 해서 최대 8년까지 할 수 있게 하자는 겁니다. 쉽게 말해, "너 잘하면 4년 더 줄게, 못하면 4년만 하고 바이바이!"라는 시스템입니다. 이 제도는 대통령이 국민 눈치를 더 보고.. 2025. 4. 9.
Chat GPT 지브리 스타일 열풍 - 저작권 논란 (저 잡혀 가나요?) 요즘 SNS를 보면 친구들이나 연예인, 심지어 반려동물 사진까지, 일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변신한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게 챗GPT(ChatGPT)라는 인공지능 덕분인데요, 대체 이 유행은 언제, 어떻게 시작된 걸까요? 그리고 저작권 문제와, 지브리 회사의 반응, 그리고 다른 애니메이션 업계 사람들은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나?이 유행의 시작은 2025년 3월 25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바로 오픈 AI가 챗GPT-4o라는 새로운 이미지 생성 모델을 출시한 날이죠. 이 모델은 사용자가 올린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은 물론, 디즈니, 심슨 가족, 픽사 같은 다양한 애니메이션 느낌으로 바꿔주는 기능이거든요. 출시되자마자 전 세계적.. 2025. 4. 8.
윤석열 출당 안 한다고? 국민의힘이 윤석열을 끌어안는 이유 (정말 쉬운 설명) 오늘은 좀 뜨거운 정치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국민의힘"은, "윤석열 전 대통령을 출당시키거나 거리를 둘 것이다"라고 여겼는데요, 국민의힘이 그를 "출당시키지 않고 대선까지 안고 간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파면당한 대통령을 왜 품고 가?"라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데, 국민의힘은 왜 이런 선택을 한 걸까요? 이게 과연 득이 될지, 실이 될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재미있고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렛츠고~~~~   1. 윤석열 파면, 그리고 국민의힘의 딜레마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전원일치로 결정하면서, 한국 정치사는 또 한 번 큰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계엄령 선포라는 초유의 사태로 파면된 윤석열, 그는 국민의힘 제1호 당원입니다. .. 2025. 4. 7.
조국혁신당의 오픈 프라이머리 제안, 그 숨은 전략은? (엄청 쉬운 설명) 조국혁신당이 오픈 프라이머리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그 요구에 대한 속내를 좀 더 쉽게 풀어보면, 이건 단순히 "공정한 경선"이라는 명분만 있는 게 아니라, 당의 생존과 영향력을 키우려는 계산이 깔려 있다는 게, 언론과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입니다. 더불어민주당이 "그럴 필요 없다"라며 반대하는 상황에서, 조국혁신당의 이런 행보를 둘러싼 속셈과 대중의 비판까지 곁들여서 살펴보겠습니다.   1. 오픈 프라이머리가 뭐야?먼저, "오픈 프라이머리"가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예를 들어, 이번 대통령 선거에 더불어민주당도 대통령 후보를 선출할 것입니다. 이재명 대표도 "저도 대권에 도전해 볼래요!"라고 말하겠지만, 다른 분들도 "저요! 저요!" 하면서 손을 들겠죠? 그러면, 당원들이 투표를 통해서, "우리 당은 0.. 2025. 4. 7.
만약 한국과 북한이 전쟁한다면 누가 이길까? 수치로 보는 전투력 분석! 만약 "한국과 북한이 전쟁을 벌인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우리나라는 정말 평화로워서, 마치 전쟁은 멀리 있는 이야기 같지만, 사실 대한민국은 "종전 상태"가 아니라, "휴전 상태"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만약 전쟁이 벌어진다면, 실질적으로 어떻게 될지, 전투력과 전쟁 양상을 한번 생각해 보려고 합니다.   1. 외부 도움 없는 한국 vs 북한: 누가 이길까?먼저, 한국과 북한이 1대 1로 맞붙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미국, 중국, 러시아는 빠지고, 순수 한국과 북한의 힘만으로 싸울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1) 한국의 전투력한국의 현역 병력은 약 50만 명(2023년 국방백서 기준)이고, 국방비는 2024년 약 57조 원으로, 세계 9위 수준입니다(Global Firepower 2024). 주요 무.. 2025.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