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치 경제

트럼프의 125% 중국 관세 폭탄! 다른 나라 90일 유예 이유

by 김지윤의 생활백과 2025. 4. 10.
반응형

 

 

 

 

2025년 4월 9일,

 

트럼프 대통령이 또 중국에 관세 폭탄을 던졌습니다.

 

이번엔 무려 125%!

 

근데 더 놀라운 건, 갑자기,

 

다른 나라들에는 90일 동안 관세를 유예하고 10%로 낮췄다는 겁니다.

 

"뭐야, 왜 중국만 이렇게 때리는 거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25% 중국 관세, 무슨 일이야?


2025년 4월 9일,

 

트럼프가 자신의 소셜 미디어 'Truth Social'에서 대폭발 선언을 했습니다.

 

"중국산 제품에 관세 125% 때린다!"고요.

 

이건 하루 전인 4월 8일에 중국이 미국의 보복성 관세에 맞대응하며,

 

미국 상품에 똑같이 34% 추가 보복 관세를 걸며,

 

"너도 아프게 할게!"라고 반격한 데 대한 응수입니다.

 

어제까지만 해도 중국 관세가 104%(이것도 엄청난 수치입니다만)였는데,

 

단 하루 만에 21% 더 올려버린 거죠.

 

 

반응형

 

2. 어떻게 이렇게 됐냐면?

 

트럼프가 재집권 후 모든 수입품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했습니다(2025년 1월).

 

그런데, 중국에게만은 이미 20%+34%=54%, 거기에 50% 더해서 104%까지 갔었죠.

 

이번에 중국이 또 반격하자 "더 세게 간다!"며 125%로 올린 곱니다.


트럼프는 "중국이 약속을 안 지켰어!"라며 강하게 나왔고,

 

백악관은 "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킬 거야"라고 자신만만해하고 있죠.

 

 

 

3. 다른 나라엔 90일 유예? 갑자기 왜 착해졌어?


그런데 같은 날, 트럼프가 다른 나라들엔 완전 다른 태도를 보였습니다.

 

"중국 빼고 나머지 나라들 관세, 90일 유예하고 10%로 낮춘다!"라고 발표한 거죠.

 

예를 들어,

 

인도(26%), 베트남(46%), 한국(25%) 같은 나라들이 갑자기 숨통이 트였습니다.

 

이건 뭐야, 갑자기 왜 이렇게 관대해진 거지?

 

 

 

4. 중국만 때리고, 다른 나라는 왜 유예했나?


트럼프가 왜 중국만 콕 집어서 공격하고, 다른 나라엔 관대한 걸까요?

 

중국만 타겟:

 

트럼프는 중국을 "미국의 가장 큰 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중국이 수십 년간 미국을 뜯어먹었다!"며,

 

제조업을 되살리려면 중국을 강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믿고 있죠.

 

특히 중국이 펜타닐 문제나 무역 불균형을 해결 안 했다고 화가 단단히 난 상태입니다.

 

다른 나라와 협력:

 

반면, 인도나 베트남 같은 나라는 "중국 대체 공급망"으로 키우고 싶어 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이 인도에서 아이폰을 더 만들면 중국 의존도가 줄어드니까요.

 

트럼프는 "너희가 잘하면 봐줄게!" 하며 이들 나라를 달래는 겁니다.

 

정치적 계산:

 

중국만 때리면 "강한 리더"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고,

 

다른 나라들엔 "나 유연하지!" 하며 협상 여지를 남겼습니다.

 

트럼프는 "70개국이 협상 전화 걸어왔다!"며 뿌듯해하고 있죠.


쉽게 말해, 중국은 "혼내야 할 대상",

 

다른 나라는 "친구로 끌어들일 대상"으로 나눈 겁니다.

 

 

반응형

 

5. 어떤 영향이 있을까?


중국:

 

연간 4,389억 달러어치 수출에 125% 관세는 엄청난 충격이죠.

 

아이폰, 옷, 장난감 같은 제품이 미국에서 비싸지거나 아예 안 팔릴 수도 있으니까요.

 

다른 나라:

 

90일 유예로 인도, 베트남, 한국 같은 나라들이 잠시 한숨 돌렸습니다.

 

특히 애플 같은 기업이 이 나라들로 공장을 더 옮길 가능성이 커졌죠.

 

미국 소비자:

 

중국산 제품 가격이 당연히 엄청나게 오를 것입니다.

 

아이폰 $799가 $1,499까지 갈 수도 있다는 소문도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 반응:

 

관세 발표 후 주식 시장이 요동쳤습니다.

 

S&P 500이 5,000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른 나라 관세 유예 소식에 9.5% 반등했습니다.

 

 

 

6. 우리한테는 무슨 의미?


한국은 이번에 25%에서 10%로 관세가 낮아져서 직접 타격은 피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중국과 미국이 싸우면 환율이나 글로벌 물가가 흔들릴 수 있으니,

 

간접 영향은 주의해야 될 것입니다.

 

특히 애플 제품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이폰 가격 오르면 어쩌나…" 살짝 걱정될 수도 있겠죠.

 

 

 

7. 결론: 트럼프의 관세 게임, 어떻게 될까?


트럼프의 125% 중국 관세는 "중국만 혼내기" 전략입니다.

 

다른 나라엔 유예를 주며 협력을 유도하고, 중국엔 강한 압박을 넣는 거죠.

 

만약 다른 나라도 관세 폭탄을 투하하면,

 

다른 나라들이 중국과 연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중국과의 연대를 끊고, 미국과 연합전선을 구축하기 위해 "중국 빌런 만들기"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게 성공할지, 아니면 물가만 오르고 끝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하네요.

 

왜냐하면, 트럼프가 하도 오락가락해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