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4일 11시 22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파면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엔 새 대통령이 필요해졌고, 그를 뽑기 위한 조기 대선이 곧 시작됩니다.
“대체 언제 투표하러 가야 하지?” “어떤 과정으로 진행되는 거야?” 궁금하신 분들,
오늘은 이 모든 일정과 과정을 아주 쉽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파면 후 대선, 왜 60일 안에 해야 할까?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대통령 자리가 비었습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68조를 보면,
대통령이 궐위(자리가 빈 상태)되면 60일 안에 새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그러니까 4월 4일부터 계산하면,
늦어도 "6월 2일(월요일)"까지는 선거가 끝나야 하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 선거는 보통 화요일이나 수요일에 하니까,
전문가들은 "6월 3일(화요일)"이 가장 유력한 날짜(예상)로 꼽고 있습니다.
2. 대선까지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대선이 그냥 뚝딱 되는 게 아니라서, 여러 단계를 거쳐 새 대통령이 탄생됩니다.
(1) 선거일 공고 (4월 중순쯤)
먼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선 날짜는 이날이에요!”라고 공고하게 됩니다.
(대통령 권한 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공식 발표할 것으로 보임)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선거일은 최소 50일 전에 알려줘야 하니까,
늦어도 4월 14일쯤엔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있을 겁니다.
이 발표가 나오면 정치권이 본격적으로 들썩이기 시작합니다.
(2) 정당별 후보 뽑기 (4월 말~5월 초)
각 정당은 자기네 후보를 정해야죠.
민주당, 국민의힘 같은 큰 정당들은 경선을 통해 누가 나갈지 결정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민주당의 경우, 이재명 대표가 유력하지만,
다른 도전자들도 나올 수 있으니 당 내에서 경선이 이뤄질 듯합니다.
이 과정은 보통 2~3주 걸리니까,
5월 초쯤엔 후보의 윤곽이 들어 납니다.
이는 다른 정당도 거의 비슷한 수순을 밟게 됩니다.
(3) 후보 등록 (5월 중순)
경선에서 이긴 후보들은 선관위에 “저 나갈게요!” 하고 등록을 하게 되는데요,
이건 대략 선거 2~3주 전에 마무리되니까,
5월 13일~20일 사이(5월 10일 , 11일이 유력)에 끝날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서부터 뉴스에 후보들 이름이 자주 오르내리겠죠?
(4) 선거운동 시작 (5월 말)
후보 등록이 끝나면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됩니다.
법적으로 선거일 2주 전부터 가능하니까,
5월 20일쯤부터 거리에서 유세 차량 소리, 플래카드 같은 걸 볼 수 있게 됩니다.
(5) 사전 투표일
6월 3일로 대선일이 확정되면, 5월 29일과 30일 이틀간 사전 투표를 하게 됩니다.
(6) 투표 당일 (6월 3일 유력)
아침 6시부터 저녁 6시까지 전국 투표소에서 새 대통령을 뽑게 되는데요,
투표율이 67%를 넘었던 2024년 총선처럼,
이번에도 국민들의 관심이 엄청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예상 날짜: 6월 3일이 대세?
정리하자면,
4월 4일 파면 확정 후 60일 안에 선거를 해야 하니,
5월 24일(토요일)~6월 3일(화요일) 사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토요일 선거는 드물고, 관례상 화요일이 많아서 6월 3일이 가장 유력합니다.
주의할 점은,
이 날이 고3 모의평가(모평) 날짜랑 겹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교육부가 모평을 6월 4일이나 5일로 옮길지도 모른다고 하니,
학생 여러분들도 귀를 쫑긋 세우셔야 합니다!!
5. 전문가들이 보는 대선 포인트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이 평소보다 더 뜨거울 거라고 하네요.
왜냐하면, 현직 대통령의 파면이라는 초유의 사태에다가,
트럼프의 미국 관세정책 같은 외부 변수까지 겹쳤거든요.
그만큼 나라가 안팎으로 어려움이 겹쳐 있기 때문에,
국민들의 마음도 많이 불안한 상태이다 보니,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에는 확실히 뽑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기 때문이죠.
심지어, 투표율이 70%를 넘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답니다.
6. 이번 대선은 간결하다?
새 대통령이 뽑히면 5년 동안 나라를 이끌어가야 합니다.
그런데, 이번 대선은 준비 기간도 짧고, 갑작스럽게 진행되기 때문에,
그만큼 대선 후보들의 공약도 간단명료할 가능성이 크고,
경제와 외교가 주요 이슈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관세(25%) 문제 같은 걸 어떻게 풀지, 다들 궁금해할 수밖에 없거든요.
그러니까, 대선 후보들은 간단명료하면서도, 확실한 것을 보여 주어야 할 때인 듯하네요.
7. 마무리: 투표로 미래를 바꿔요!
조기 대선 일정에 대해 감이 좀 오시죠? ^^
4월 4일부터 6월 3일까지, 약 두 달 동안 대한민국이 새 리더를 뽑는 여정을 우리는 함께 하게 됩니다.
투표는 우리의 목소리를 내는 소중한 기회니까, 꼭 참여해 주세요!
'사회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샤프의 시작과 끝, 왜 무너졌을까? (엄청 쉽게 설명) (2) | 2025.04.05 |
---|---|
2025 트럼프 관세정책: 한국에 기회일까, 위기일까? (엄청 쉬운 설명) (8) | 2025.04.04 |
윤석열 대통령 탄핵 결과 발표! 타임라인으로 쉽게 풀어본 3년史 총정리 (2) | 2025.04.04 |
(쉬운 설명) 노무현 탄핵, 2004년 그때 무슨 일이 있었을까? (2) | 2025.04.03 |
(총정리) 일본 사랑받던 네이버의 "라인", 일본 기업 되나? (최근 뉴스 포함) (4)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