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년 4월 3일, 대한민국 정치사에 큰 획을 그은 날입니다.
바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결과가 헌법재판소에서 발표된 날이죠.
오늘은 이 글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이 어떻게 대통령이 됐는지,
어떤 과정을 거쳐 2025년 4월 3일 탄핵에 이르렀는지,
타임라인을 따라가면서 설명해 드릴게요.

1. 2022년 3월 9일: 대통령의 시작
윤석열 대통령의 이야기는 2022년 3월 9일부터 시작됩니다.
이날은 제20대 대통령 선거 날이었죠.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한 윤석열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치열한 접전을 벌였습니다.
결과는 윤석열 후보가 48.56%를 얻어,
이재명 후보(47.83%)를 불과 0.73% 차이로 꺾고 승리했습니다.
득표 차는 247,077표! 역대 대선 중 가장 박빙이었던 순간이었던 거죠.
그리고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후보는 공식적으로 대통령직에 취임하며 5년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2. 2022년~2023년: 순탄치 않은 출발
취임 후 윤석열 정부는 시작부터 여러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2022년 7월에는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이 불거졌고,
2022년 10월 이태원 참사 이후 정부 대응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으며,
2023년에는 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관련된 외압 논란이 터졌습니다.
이 시기 지지율은 20~30%대까지 떨어지며,
“이러다 큰일 나는 거 아니야?”라는 목소리가 커졌던 때입니다.
그래도 2023년까지는 탄핵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나오진 않았답니다.

3. 2024년 12월 3일: 계엄령 선포, 운명의 전환점
진짜 이야기는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0분부터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갑작스럽게 비상계엄을 선포했죠.
“종북 세력을 척결하고 헌정 질서를 지키겠다”는 명분이었습니다.
군과 경찰이 국회를 둘러싸고 의원들 진입을 막으려 했지만,
국회는 즉각 반발했고,
190명의 의원이 본회의장에 모여 새벽 1시쯤 계엄 해제를 결의했습니다.
결국 2024년 12월 4일 새벽 4시, 계엄령은 6시간 만에 철회됐습니다.
이 사건은 “도대체 무슨 일이야?”라며 온 나라를 발칵 뒤집어 놓게 됩니다.
참고:
윤석열 대통령이 말하는 "종북세력"은,
윤 대통령이 정치적 맥락에서 자주 언급하는 용어로,
주로 북한을 추종하거나 북한과 연계된다고 여겨지는,
"개인, 단체, 또는 이념적 흐름"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은 특히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종북 반국가 세력을 일거에 척결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웠기 때문에,
이 발언을 통해 윤 대통령은,
"종북세력"을
"국가 안보와 헌정 질서를 위협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4. 2024년 12월 7일과 14일: 탄핵 시도 1, 2차
비상 계엄령 사태 후 야당은 바로 움직였습니다.
2024년 12월 7일,
첫 번째 탄핵소추안이을 국회에 상정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힘 의원들이 표결에 불참하면서 정족수(200명)를 채우지 못해 무산됐죠.
하지만 야당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2024년 12월 14일,
두 번째 탄핵소추안이 본회의에서 표결에 부쳐졌고,
이번엔 재적 의원 300명 전원이 참여했습니다.
그 결과 찬성 204명, 반대 85명, 기권 3명, 무효 8명으로 가결되었고,
그 즉시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습니다.
5. 2025년 1월~3월: 헌법재판소 심판
탄핵소추안은 2024년 12월 14일 헌법재판소에 접수됐습니다.
헌재는 180일 안에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과거 노무현(63일), 박근혜(91일) 사례처럼 보통 더 빨리 끝났던 전례가 있습니다.
2025년 1월 14일 첫 변론이 시작됐고,
2월 25일까지 총 11차례 변론이 열렸습니다.
주요 쟁점은 “계엄령이 헌법을 위반했느냐”였는데요,
국회는 “위헌이다, 국민 기본권을 침해했다”라고 주장했고,
윤 대통령 측은 “통치 행위였다, 정당했다”라고 맞섰습니다.
2025년 3월 말까지 평의가 이어졌고,
마침내 2025년 4월 4일 선고일이 잡히게 됩니다.

6. 2025년 4월 4일: 탄핵 확정
오늘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발표했습니다.
재판관 8명 중 8명 전원만장일치로 파면이 확정되었는데요,
이로써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2년 10개월 만인 2025년 4월 4일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헌법 68조에 따라,
60일 안에 새로운 대통령을 뽑아야 합니다.
'사회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트럼프 관세정책: 한국에 기회일까, 위기일까? (엄청 쉬운 설명) (8) | 2025.04.04 |
---|---|
2025년 대한민국 새 대통령 선거, 날짜와 과정 엄청 쉽게 정리! (9) | 2025.04.04 |
(쉬운 설명) 노무현 탄핵, 2004년 그때 무슨 일이 있었을까? (2) | 2025.04.03 |
(총정리) 일본 사랑받던 네이버의 "라인", 일본 기업 되나? (최근 뉴스 포함) (4) | 2025.04.02 |
탄핵은 왜, 탄핵일까? 탄핵의 역사와 현재는? (2) | 2025.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