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 쇼핑 좋아하시는 여러분!
길거리나 시장에서 “보세”라는 간판을 단 가게들 보신 적 있으시죠?
“보세옷 사러 간다!”라는 말도 주변에서 많이 들리는데,
대체 보세가 뭐길래 이렇게 보세 옷 가게가 전국적으로 퍼져 있을까요?
오늘은 보세의 뜻부터 유래, 역사, 그리고 요즘은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보세가 뭐야?
“보세”라는 단어는 원래 "보류관세(保稅)"의 줄임말입니다.
수입품에 붙는 관세를 당장 내지 않고 보류해 놓는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외국에서 원단을 들여와서 옷을 만들고, 다시 수출하려고 하는데,
그 원단은 "수출용 옷"을 만들 거라 관세(들여오는)를 부과하지 않는 시스템입니다.
2. 이름 유래: 관세에서 옷 가게까지
“보세”라는 이름이 옷과 연결된 건,
대한민국 경제가 쑥쑥 성장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970년대,
우리나라는 수출을 장려하기 위해 보세제도를 적극 활용하게 됩니다.
해외에서 고급 원단을 수입해서 국내에서 옷을 만들고,
다시 외국으로 내보내는 거죠.
이때 관세를 유보한 원단으로 만든 옷들을,
“보세옷”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재미(?) 있는 건,
이 과정에서 일부 옷이 수출되지 않고, 국내에 몰래 풀리게 됩니다.
(혹은 공장이 망해서, 원단 비용이라도 메꾸기 위해 시장에 풀리기도...)
동대문이나 이태원 근처 보세창고에서 흘러나온 이 옷들이,
싸고 질 좋아서 인기를 끌었답니다.
그렇게 “보세”는 점점 옷 가게 이름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3. 보세의 역사: 경제 성장과 함께한 옷 이야기
보세의 역사는 대한민국 경제史와 딱 붙어 있습니다.
1960~70년대, 박정희 정부는 “수출입국”을 외치며 의류 산업을 키웠습니다.
1970년대에 동대문 보세창고가 본격적으로 생기면서,
수입 원단으로 만든 옷들이 쏟아지게 된 거죠.
당시 역사적인 사건 중 하나가 1973년 오일쇼크인데요,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수출 기업들이 힘들어졌는데,
그때, 보세제도는 관세 부담을 덜어줘서 큰 힘이 됐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보세옷은 해외 브랜드보다 저렴하면서도,
스타일이 좋아서 서민들 사이에서 대박을 치게 됩니다.
1980년대 들어서도 보세는 계속 진화했습니다.
동대문 시장이 패션 허브로 떠오르면서 보세 가게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게 되고,
1990년대엔 IMF 경제위기라는 큰 사건이 터졌을 때도,
보세옷은 저렴한 가격으로 사람들의 지갑을 지켜주게 됩니다.
브랜드 옷 대신 보세옷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가성비 패션”의 대명사가 된 거죠.
4. 지금은 어떤 의미로 쓰일까?
요즘 “보세”는 원래의 "관세" 뜻에서 멀어져서 "브랜드 없는 옷"을 파는 가게를 뜻합니다.
동대문, 이태원, 홍대 앞 길거리 상점이나 지하상가에서 흔히 볼 수 있죠.
품질이 떨어진다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사실 최근엔 “황금보세”라는 말까지 생길 정도로 퀄리티 좋은 제품도 많습니다.
보세 가게들은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해서,
백화점 브랜드보다 더 독특하고 개성 있는 옷을 내놓기도 합니다.
5. 재미있는 역사 에피소드: 보세와 불법의 경계
보세의 역사엔 살짝 어두운 이야기도 있습니다.
1970~80년대,
보세창고에서 나온 옷이 불법으로 국내에 유통된 적이 꽤 있었거든요.
원래 수출용이라 관세를 안 낸 옷인데,
몰래 시장에 풀리면서 세관 단속에 걸리기도 했습니다.
1980년대엔 동대문에서 “보세옷 단속” 사건이 신문에 실릴 정도로 화제였죠.
하지만 이런 우여곡절이 보세를 더 유명하게 만든 계기가 됐고,
불법의 경계에서 시작했지만, 결국 서민 패션의 영웅으로 거듭난 셈이랄까요?
6. 마무리:
"보세"는 "관세"라는 딱딱한 단어에서 시작해,
대한민국 경제 성장과 함께하며,
지금은 패션의 한 축을 담당하는 이름이 됐습니다.
오일쇼크와 IMF 같은 역사적 사건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남아 우리 옷장을 채워줬죠.
다음에 "보세 가게" 앞을 지나가실 때,
“이 이름이 이렇게 재밌는 역사를 가졌구나!” 하며 한 번 웃어 주세요. ^^
'정보 드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저금리 시대 청년 필수! 떠먹여줘도 안하면 재태크 포기하셈! (6) | 2025.04.02 |
---|---|
고양이 집사가 알아야 할, 츄르가 뭐길래? 고양이가 환장하는 간식의 비밀 (8) | 2025.04.01 |
갤럭시 스마트폰 흔들 때 달그닥 소리? 수리해야 하나요? (0) | 2025.03.31 |
(대신 결정해 드림) 다이소 이어폰 완전 총정리: 종류, 가격, 소리 차이, 추천까지 (8) | 2025.03.30 |
윈도우11 귀찮은 위젯창(widget)을 끄거나 켜는 방법 (6) | 2025.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