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3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조기에 치러지는 만큼,
후보들의 공약이 유권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빅데이터 분석 도구 ‘매니페스토 R’을 활용해,
후보들의 공약이 얼마나 진보적이고 보수적인지를 분석한 결과가 공개되었는데요.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후보의 공약은 진짜로 "어떤 성향"을 띠고 있을까요?
이재명 후보의 공약은 진보일까요?
김문수 후보의 공약은 보수일까요?
오늘은 이 흥미로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친근하고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그럼, 바로 렛츠고우~~~~~!!
1. 매니페스토 R이 뭐예요?
매니페스토 R은,
선거에서 정당이나 후보자가 내세운 공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국제 공약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핵심 목적은,
각 후보자의 공약이 진보적인지, 보수적인지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공약의 내용을 인공지능 언어 모델인 ‘매니페스토버타(ManifestoBERTa)’를 활용해,
외교·안보, 민주·인권, 정치·행정, 경제·산업, 복지·삶의 질, 사회·가치, 사회 집단 및 계층 등,
7가지 큰 주제와 56개 세부 카테고리로 분류합니다.
분류된 공약들은 복지 확대나 소수자 권리 증진 등은 진보,
감세나 안보 강화 등은 보수로 평가됩니다.
각 공약의 진보·보수 성향은 비율로 점수화되며,
최종적으로는 보수 비율에서 진보 비율을 뺀 값을 통해,
후보나 정당의 전체적인 좌·우 이념 점수(정치 성향 지표)가 산출됩니다.
이 분석 방식은 복지, 경제, 안보 등 다양한 정책 분야별로,
후보자와 정당의 공약 성향을 데이터로 나타냄으로써,
유권자가 정책의 실질적 내용을 근거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즉, 매니페스토 R은 단순한 공약 나열이 아니라,
그 이념적 방향성과 정책 분야별 특성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선진적인 공약 분석 도구입니다.
2. 이재명: 우클릭 행보 속 강한 진보 색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최근 유세와 회견에서,
“합리적 보수까지 아우르겠다”며 중도층을 공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공약을 들여다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매니페스토 R 분석 결과,
이재명 후보의 10대 공약 중 128개 세부 공약을 분석한 결과 값은,
6.1%인 59개가 진보 성향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의 공약은 ‘-28.9점’으로,
라일 지표(RILE, Right and Left Index)에서 다소 진보적인 성향으로 평가됩니다.
(+ 숫자가 크면 클수록 보수 성향이 강하고, - 숫자가 크면 클수록 진보 성향이 강하다는 뜻)
이는 복지 확대, 사회적 평등 강화, AI 산업 육성, K-콘텐츠 지원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과 신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춘 결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소상공인·자영업자 상병수당 확대” 같은 공약은 전형적인 진보 정책으로 꼽힙니다.
이재명 후보가 중도 확장을 외치지만,
공약의 뿌리는 여전히 진보에 단단히 박혀 있는 셈입니다.
3. 김문수: 강경 보수 이미지 속 중도 공약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전형적인 보수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노동운동가에서 보수 정치인으로 전향한 독특한 이력을 가진 그는,
“경제 대통령”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기업 친화적 정책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매니페스토 R 분석 결과,
그의 공약은 '0점'으로 완벽한 중도 성향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보수적 공약인 기업 규제 완화와,
진보적 공약인 반값 월세존 조성,
출산·임신 지원 등이 비슷한 비중으로 섞여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반값 월세존 같은 정책은,
젊은 층과 서민을 겨냥한 진보적 색채가 강합니다.
김문수 후보의 공약은 보수 정당의 전통적 가치와,
유권자의 표심을 동시에 잡으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강경 보수 이미지를 가진 그가,
중도 공약을 내세운 점은 유권자들에게 신선한 반전으로 다가갈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3. 이준석은 중도일까?
개혁신당의 이준석 후보는 40세라는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가장 보수적인 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의 공약은 "3.03점"으로 약한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었으며,
중도 공약의 비율이 "36.3%"로 세 후보 중 가장 높습니다.
이준석 후보는 정부 부처 통폐합,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 등,
효율성과 시장 자유를 강조하는 전통적 보수 정책에 집중했습니다.
또한, 지방분권 강화를 통해,
법인세와 최저임금을 지방으로 이양하자는 제안은,
그의 개혁적 면모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공약이 실현 가능성과 대중적 호응을 얻을지는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젊은 보수로서 기존 정치권에 도전장을 내민 이준석 후보의 공약은,
특히 젊은 층과 개혁을 바라는 유권자들에게 어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2025 대선, 공약으로 읽는 후보의 전략
이번 분석을 통해 이재명 후보는 진보적 기반을 유지하며 중도층 확장을 노리고,
김문수 후보는 보수 이미지를 넘어,
중도적 공약으로 유권자들에게 다가가려는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반면, 이준석 후보는 젊은 보수로서,
과감한 개혁을 내세우며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 공약들은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후보들의 정치적 비전과 유권자를 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공약이 마음에 드시나요?
2025년 대선은 단순한 투표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보들의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나와 내 가족,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5. 요점 정리
2025 대선 공약 분석: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의 정치 성향
[이재명: 진보적 공약의 뿌리]
정치 성향 점수: -28.9점 (진보)
주요 공약: 복지 확대, AI 산업 육성, K-콘텐츠 지원, 소상공인 상병수당 확대
분석: 10대 공약 중 46.1%가 진보 성향. 중도 확장을 외치지만, 공약은 사회적 평등과 복지에 집중.
[김문수: 보수와 진보의 균형]
정치 성향 점수: 0점 (중도)
주요 공약: 기업 규제 완화, 반값 월세존 조성, 출산·임신 지원
분석: 강경 보수 이미지와 달리, 진보와 보수 공약이 균형을 이룸. 서민층과 기업을 동시에 공략.
[이준석: 젊은 보수의 개혁]
정치 성향 점수: 3.03점 (약한 보수)
주요 공약: 정부 부처 통폐합,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 지방분권 강화
분석: 중도 공약 비율 36.3%로 가장 높음. 효율성과 시장 자유를 강조하며 젊은 층에 어필.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격! 국민의힘, 교사들 동의 없이 '특보 임명장' 발송, 심각한 법적 문제 3가지 (4) | 2025.05.22 |
---|---|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공개 행보, '부정선거' 영화 관람의 숨겨진 의미 (0) | 2025.05.21 |
대선, 이미 67%는 마음 정했다! 사람들은 언제 결심했을까? (2) | 2025.05.21 |
사람들은 대선이 내일이라면 누구를 뽑을까? (수치로 보는 대선 판세 총정리) (0) | 2025.05.21 |
이준석, 왜 이렇게 싫어할까? 비호감도 1위의 이유 (6) | 2025.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