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간단 정리)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일과 적용 제외는?
외국인들도 '한국인들에겐 한국식 나이가 따로 있다'는 것을 알 정도로 좀 특이하기는 합니다만,
오랫동안 사용해서 그런지, 불편하다는 생각은 없었습니다.
특히, 저는 개인적으로 아이가 뱃속에 있던 10개월을,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세월'로 인정(?) 해 준다는 것이 '참 감동적이다'라고 생각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법적, 행정적, 사회적으로 혼란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이번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만 나이 통일법'에 대해서 아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계산법
계산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지금 연도 - 태어난 연도 = '연 나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2000년에 태어났다면, 2023 - 2000 = 연 나이가 23살입니다.
'연 나이'라고 말씀드린 이유가,
(1) 아직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거기서 한살을 더 빼야 '만 나이'가 되는 것이고,
(2) 생일이 지났다면, '연 나이'와 '만 나이'가 같아 지는 겁니다.
2. 만 나이 기준 운영 정책들 예시
사실 '만 나이 통일법' 시행 전에도 우리나라 각종 제도들은 이미 만 나이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대해, '법제처'에서는 이런 예를 들고 있습니다.
(1) 선거권: 공직선거법에 따라 만 18세 이상 국민은 선거에 참여.
(2) 연금수령: 국민연금법, 기초연금법에 따라서 이미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음.
(3) 정년: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주는,
근로자의 정년을 만 60세 이상으로 정해야 함.
(4) 경로우대: 노인복지법에 근거하여,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을 대상으로 공공시설의 이용요금을 할인.
3.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연 나이'를 적용하는 예시
학업이나 단체생활 등, 예외적으로 만 나이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에 대해 '법제처'는 이런 예를 들고 있습니다.
(1) 취학연령: 초·중등교육법에 따라,
'초등학교는 만 나이로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부터 입학한다.'라고 말하는데,
그냥 '연 나이 7세 때 3월 1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주류·담배 구매: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연 나이로 19세 미만(19세는 살 수 있음)은 구매할 수 없음.
(3) 병역 의무: 병역법에 따라, 19세 때에 병역판정검사를 받음.
원래 공적인 정보 전달의 경우는 개인적인 의견(혹은 그렇게 느껴지는)은 넣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만,
위의 법제처 그림에 있는 Q4 질문에, "친구끼리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호칭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처음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친구끼리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만 나이 사용이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한국의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질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쓰여 있네요.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한국의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질 것으로 기대한다니?'...
위에서는 호칭에 대해서 물어 보았는데, '서열문화'로 답을 하는군요.
한국어는 존칭어가 있는 특수한 언어 구조를 갖고 있고,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기준 중 하나가 바로 '나이'입니다.
'한두 살 차이를 엄격히 따지지 않게 되면, 내 친구의 누나나 형과 반말을 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극단적인 예로, 한두 살 형과 반말하고, 그 형은 또 한두 살 형과 반말하고, 또...
이러다가 시체말로 '족보'가 꼬이게 되는거죠.
우리나라말이 전부 반말로 바뀌기 전에는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한국의 서열문화가 점점 사라질지 미지수입니다.'
저도 제 친구가 한 살 어린데(예전에 학교에서 빠른...뭐, 그런), 학교 친구 했다가,
나중에 그 친구의 친구들은 나보다 한살 어려서, 형이라고 하고, 그 친구는 반말하고...